유류세 인하 10월까지 연장…휘발유·경유 가격 안정과 경제적 파급효과
정부는 2025년 8월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오는 10월 31일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휘발유 ℓ당 82원, 경유 87원, LPG 부탄 30원의 인하 효과가 두 달간 추가 유지됩니다. 이번 조치는 국내외 유가 불확실성과 서민 가계 부담 완화를 이유로 한 17번째 연장입니다.
1. 유류세 인하 정책 개요
유류세 인하는 2021년 11월 처음 시행되어 코로나19 여파와 국제유가 급등 상황에서 국민 생활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긴급 대책으로 도입됐습니다. 2022년 7월에는 휘발유·경유 세율을 최대 37%까지 낮췄으며, 이후 점진적으로 축소하여 현재는 휘발유 10%, 경유·LPG 부탄 15% 인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연장 내용 요약
유종 | 인하율 | ℓ당 인하 금액 | 비고 |
---|---|---|---|
휘발유 | 10% | 82원 | 2025년 10월까지 |
경유 | 15% | 87원 | 2025년 10월까지 |
LPG 부탄 | 15% | 30원 | 2025년 10월까지 |
2. 경제적 파급효과
① 물가 안정
유류세 인하는 운송비와 물류비를 낮춰 소비재 가격 상승 압력을 완화합니다. 농수산물, 제조업, 택배 등 유류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서 가격 안정 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
② 가계 소비 여력 확대
ℓ당 수십 원의 절감 효과라도, 연간 주행 거리가 긴 운전자에게는 수만~수십만 원의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이는 다른 소비로 이어져 내수 진작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③ 산업 경쟁력 강화
물류비 절감은 수출입 산업의 원가 절감으로 이어져 국제 경쟁력을 높입니다. 특히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기에는 기업 부담 완화 효과가 큽니다.
3. 정책 한계와 우려
① 세수 감소
유류세 인하는 정부 세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장기적으로 재정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② 환경 정책과 충돌
저유가 정책은 온실가스 배출 증가와 친환경차 전환 속도 저하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③ 시장 변동성
정책 종료 시점에 국제유가가 높다면, 소비자 체감 가격이 급등하는 ‘반발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해외 사례 비교
- 미국: 주정부 차원에서 한시적 유류세 면제를 시행
- 일본: 세금 인하 대신 보조금 지급을 통한 가격 안정
- 유럽: 세금 인하보다 대중교통 지원, 친환경차 보급 확대
5. 향후 시사점
유류세 인하는 단기적으로 국민 부담을 줄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환경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가 변동 대응 종합 전략과 에너지 구조 개편을 병행해야 하며, 친환경 교통 인프라 확충과 저소득층 맞춤 지원이 필요합니다.
'NEWS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버드의 비트코인 ETF 투자, 디지털 자산 시대를 여는 선언 (3) | 2025.08.13 |
---|---|
파킹통장과 파킹형 ETF 완벽 가이드: 단기 자금 운용의 모든 것 (5) | 2025.08.12 |
114조원 한은 마통, 미래세대 빚과 물가 위기 (6) | 2025.08.12 |
삼성전자 세계 최초 마이크로 RGB TV 출시, 프리미엄 시장 선도 (3) | 2025.08.12 |
미국 무관세 공장 정책과 삼성전자·SK하이닉스, 한국 경제의 향방 (5) | 2025.08.10 |
금값 65만7천 원 돌파! 향후 전망과 금 투자 시 주의할 점 (2) | 2025.08.09 |
H100 GPU와 ollama가 만났다! 엔비디아·오픈AI gpt-oss로 열리는 AI 혁신 시대 (2) | 2025.08.08 |
네이버 ‘AI 브리핑 확대’ 전략 분석: 검색 혁신과 미래 전망 (3) | 2025.08.08 |